여러가지 재태크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통신비 절약입니다. 특히 요즘에는 5G다 뭐다 해서 핸드폰 비용이 점점 올라가는데요. 알뜰폰을 사용하면 핸드폰 비용을 획기적으로 아낄 수 있죠. 그런데 왜 알뜰폰을 안 쓸까요? 이번 글에서는 알뜰폰 단점 및 장점을 알아보고, 알뜰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해봤습니다.
Contents
1. 알뜰폰이란?
알뜰폰은 우리나라에 2004년부터 도입이 되었고,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알뜰폰이란 간단히 말해서 기존 이통 3사의 요금제보다 저렴한 요금제를 말하는데요. 어떻게 해서 가격이 저렴할까요? 그 이유는 아래 글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알뜰폰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은 참고해보세요.
2. 알뜰폰 단점
(1) 통화 품질 및 데이터 속도
어떤 분들은 알뜰폰 전화가 잘 안 터진다, 데이터가 너무 느리다 라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알뜰폰이 기존 통신사의 망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만약 알뜰폰이 잘 안 터지는 곳이 있다면 통신 3사 핸드폰도 잘 안 터질 확률이 높습니다.
(2) 실제 단점은?
알뜰폰을 사용하면서 느끼게 되는 실질적인 단점은 바로 멤버쉽 혜택과 가족 할인 혜택입니다. 알뜰폰을 사용하면 SKT, KT, LGU+ 망을 쓰지만, 실질적으로 그들의 고객은 아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이통 3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영화 할인이나 공연 티켓 그리고 가족 결합 할인 같은 혜택은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알뜰폰 단점 넘는 장점
(1) 저렴한 가격
이렇게 멤버쉽이나 가족 할인 혜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알뜰폰을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요? 아무래도 알뜰폰의 가장 큰 장점인 저렴한 가격때문입니다. 취직도 마찬가지죠. 회사 복지가 아무리 좋아도 연봉이 높아야 좋은 것처럼, 핸드폰 요금도 마찬가지인 것이죠.
한 가지 사례를 볼까요? 아래 그림은 LGU 요금제와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한 것입니다. 첫 번째 그림은 LGU+ 요금제로 12GB 데이터가 월 55,000원입니다. 반면, 똑같이 LGU+ 망을 이용하는 프리티 텔레콤의 11GB 데이터 요금제는 월 23,100원입니다. 데이터가 1GB 차이 난다고 해도 2배 정도 저렴하다는 것이 눈에 확 들어오죠.
(2) 약정 기간
또 한가지 알뜰폰 단점을 넘는 장점은 약정기간입니다. 이통 3사 요금제는 대부분 할인을 받으려면 1~3년 약정기간을 걸어야 하는데요. 알뜰폰 요금제는 약정기간이 없거나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4. 그럼에도 알뜰폰 안 쓰는 이유
(1) 귀차니즘
이렇게 통신비를 획기적으로 아낄 수 있음에도 알뜰폰을 안 쓰는 이유 첫 번째는 “귀차니즘”입니다. 기존에 이용하던 통신사 요금제를 알뜰폰으로 바꾸려면, 홈페이지 가입과 유심 교체 등 번거로운 일들을 해야합니다. 누가 대신 해줬으면 하는 일들이지만 돈을 아끼려면 직접 움직여야 합니다.
(2) 신뢰감 (크리티컬한 알뜰폰 단점)
핸드폰이나 인터넷은 생활 기반 서비스입니다. 이런 서비스들이 잘못되면 큰 불편을 겪게 되는데요. 그래서 아무래도 신뢰가 더 있는 대기업 요금제를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알뜰폰을 써보고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기 시작하면 이런 신뢰감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5. 알뜰폰 단점 마무리
이상 알뜰폰 단점 및 장점을 알아보고, 저렴한 가격이라는 장점에도 왜 알뜰폰을 쓰지 않는지 살펴봤습니다. 최근 알뜰폰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통신비를 아끼는 방법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는 말인데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와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보시고, 핸드폰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지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읽어볼만한 글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